인체의 구조 _ 신경 계통
본문 바로가기
과학

인체의 구조 _ 신경 계통

by ∵32구역거주민∴ 2022. 7. 4.
반응형

몇 개의 기관이 유사한 목적으로 활동하는 조합을 계통이라고 한다. 계통은 피부 계통, 근육 계통, 골격 계통, 호흡기 계통, 순환기 계통, 소화기 계통, 비뇨기 계통, 신경 계통, 감각기 계통, 생식기 계통, 분비 계통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신경 계통의 기본 개념을 알아보고 다음 글에서는 뇌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뉴런

신경 

  • 신경은 신경 섬유가 모인 다발로 일방통행을 한다. 말초로 갈수록 가지가 갈라져 신체 각부에서 끝나고 신경 섬유 하나하나 분리되어 간다, 구심성인 것, 원심성인 것이 있고, 자율 신경은 각각 개별의 뉴런에 의하여 자극을 전한다. 손상을 입으면 재생이 어렵다.
  • 신경계는 중추 신경계와 말초 신경계로 나눌 수 있다. 중추 신경계는 뇌와 척수를 말한다. 말초 신경계는 모든 세포나 조직이 항상 원활하고 적절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역할 분담을 하고 체신경계와 자율신경계로 나뉜다. 
  • 체신경계는 뇌척수 신경계로 뇌신경, 척수신경을 말하며, 중추신경계와 근육, 피부, 샘 등의 각종 기관을 이어주는 연결 부분이다. 근육의 운동이나 감각 등을 담당하고 있다. 자각적으로 그 기능을 파악할 수 있고 자기의 의지를 움직여 작용시키는 일을 한다. 
  • 자율신경계는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서로 길항적으로 작용하여 체액 순환, 호흡, 소화, 분비 등의 작용을 담당한다. 자기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조금도 자각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 신경계는 중추부와 말초부로 나눌 수도 있는데 중추부는 말초부로부터 정보를 받아 말초 기관에 명령을 전단하는 역학을 한다. 말초는 중추로 정보 전달하는 신경으로 구심성 신경이다. 중추는 말초로 정보 전달하는 신경으로 원심성 신경이다. 
  • 신경 계통은 신경 세포와 신경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뉴런은 신경 조직의 단위로 한 줄의 긴 섬유인 축색돌기와 다수의 수상돌기를 내서 다른 뉴런과 연합하여 자극을 전달한다. 
  • 신경 섬유는 축색돌기가 모여 다발을 이룬 것으로 유수신경과 무수 신경으로 나눌 수 있다. 유수신경은 마이엘린 껍질로 싸인 축색으로 마이엘린 껍질이 절연체 역할을 하여 전도 속도가 빠르다. 무수 신경은 마이엘린 껍질로 싸여 있지 않은 축색이다. 슈반 세포는 축색을 둘러싸는 마이엘린과 가장 바깥쪽의 막인 신경초를 형성하고 있다. 
  • 신경 섬유가 절단되면 회복이 어렵다. 그러나 말초 신경이 사고로 절단되어 마비가 온 경우 절단된 신경을 적절히 이어주면 어느 정도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 역치는 신경을 자극할 수 있는 가장 약한 자극 강도를 말한다. 
  • 신경 계통에서 전달이란 하나의 뉴런이 다른 뉴런으로 자극을 전해져 가는 것을 말한다. 시냅스는 축색의 끝이 다른 신경 세포의 수상돌기 또는 세포체, 축색과 접촉하는 것이다. 반사 반응은 말초에서 대뇌로 전달 경로 중 척수 중에서 운동을 명령하는 신경으로 전파되어 대뇌로부터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운동이 시작하는 것을 말하며 이 전달 경로를 반사궁이라 한다. 
  • 신경 계통을 이루는 신경 조직은 특수하게 분화된 신경 세포들과 신경세포를 지지하는 신경아교 세포로 되어 있다. 
  • 흥분이 되면 신경 섬유로 전달이 되고 각 신경 세포가 서로 연접하는 부위인 시냅스에서 전기적 전달을 한다. 이에 각 신경 세포 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아세틸콜린)이 방출되고 근육이나 샘들이 적절하게 반응하는 화학적 전달이 이루어진다. 

자율 신경 계통

  • 말초신경계의 일부는 자기 의지와는 관계없이 작용하는 기관에 분포하여 호흡, 순환, 대사 등을 무의식적으로 조절한다. 이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 신경계로 나뉘는데 서로 길항작용으로 균형을 유지한다. 땀샘이나 털세움근은 교감 신경만의 지배를 받는다. 
구분 교감신경의 작용 부교감신경의 작용
동공 이완 수축
말포혈관 수축 이완
혈압 상승 하강
심박수 증가 감소
기도 이완 수축
위장관운동 억제 촉진
구분 교감신경의 작용 부교감신경의 작용
소화액 분비 감소 증가
혈당 증가 혈당 하강
방광 이완 수축
타액선 소량 분비 다량 분비
피부 수축  
땀생 분비활동 증가  
  • 교감 신경은 돌발 사고에 대처하거나 외부로부터 몸을 보호하도록 전신적으로 작용하여 에너지를 밖으로 발산하는 경우(이화작용)에 작용한다. 
  • 부교감 신경은 소모된 체력을 회복하기 위하여 영양을 보급하고 휴식을 취하며 에너지를 충전하는 경우(동화작용)에 작용한다. 
  • 지율 신경이 흥분하여 작용을 나타날 때 교감신경에서는 카테콜라민이(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 부교감 신경에서는 아세틸콜린이 분비된다. 

 

반응형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체의 구조 _ 심장에 대해 알아보자  (0) 2022.07.06
인체의 구조 _ 뇌에 대해 알아보자  (0) 2022.07.05
골절  (0) 2022.07.03
인체의 구조_ 골격 3_ 근육  (0) 2022.07.02
인체의 구조_ 골격 2  (0) 2022.07.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