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구조_소장, 대장
본문 바로가기
과학

인체의 구조_소장, 대장

by ∵32구역거주민∴ 2022. 7. 20.
반응형

지난 글에서는 식도를 거쳐 위에서 소화액의 분비로 미즙 상태로 음식물이 십이지장으로 넘어가는 과정까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화관 중 가장 긴 부분인 소장과 분변에 관여하는 대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소장 

  • 소화관 중 가장 긴 부분으로 약 6m 정도 되며 직경은 대장보다 작습니다. 음식물의 90%를 소화 흡수합니다. 
  • 소장 표면에는 주름이 분포하고 장 내용물이 가득차도 소실되지 않습니다. 주름의 점막면에 융모라는 작은 돌기가 있어 점막표면적을 늘려 음식물의 소화, 흡수 효율을 높여줍니다. 융모는 복잡한 신축 운동을 통하여 융모 내의 모세혈관이나 모세 림프관으로 유입되는 흡수 물질의 수송을 촉진합니다. 
  • 십이지장 : 약 25cm로 C자 모양이며 소장 중 가장 짧고 넓으며 움직임이 적은 부위입니다. 중간 부위에 췌장과 담낭에서 시작되는 관이 열려 있어 풍부한 소화액과 섭취된 지방을 유상액으로 분해하는 담즙산을 공급받습니다. 십이지장벽에는 많은 양의 점액을 분비하는 선들을 포함합니다. 이 점액은 위에서 나온 산성 유미즙으로부터 소장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 공장 : 십이지장과 회장 사이에 위치하고 약 2.5m 정도 되며 회장보다 벽이 두껍고 직경이 넓으며 복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수백만개의 융모를 가지고 있는 점막층과 혈, 샘, 신경 등을 포함하고 있는 점막층, 돌림 섬유, 세로 섬유로 된 근육층과 복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회장 : 소장의 세번째 부위로 3.4m 정도이고 대장과의 접합부위인 회맹장판이 있는 맹장까지 이어져 있습니다. 소화의 상당 부분과 흡수는 공장의 말단 부위 앞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미세 융모를 통해서 일어납니다. 소화가 완전히 행해지면 동시에 소장 점막에서 영양분이 흡수되어 혈관 및 림프관으로 들어가게 되고 소화 및 흡수가 끝난 찌꺼기는 대장으로 보냅니다.

대장

  • 약 1.5m로 소장보다 짧고 직경 6.5cm로 소장의 2배입니다. 소장을 둘러서 싸고 있고 대장벽은 소장보다 얇고 윤상주름이나 융모가 없습니다. 
  • 상행 경장, 횡행결장, 하행결장으로 이어지다가 골반 부위에서 S자 결장이 되어 직장으로 이어집니다. 직장은 변을 저장하는 곳이고 체외와 연결된 항문에서 끝납니다. 맹장과 결장 사이에는 회장이 개구하고 회맹판이 만들어져 있어 경장의 내용물이 회장에 역류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 맹장 : 회장의 개구부 아래쪽에 5~6cm의 주머니같은 부분으로 뒤쪽에 충수가 늘어져 있습니다. 충수는 조류와 초식동물에서 발달하고 인간에게서는 퇴화한 기관입니다. 맹장염은 우하복부의 급성 염증으로 충수돌기염이라고도 합니다. 
  • 소화 작용은 거의 없이 수분을 흡수하고 분변을 형성하여 배설합니다. 대장 점막에는 많은 점액이 분비되고 소화 효소는 없습니다. 점액은 대장 점막 보호와 내용물의 원활한 이송을 돕기 위한 것입니다. 
  • 음식물이 소비된 후 단단한 폐기물(변)은 맹장에서 시작하여 천천히 불수의적인 대장의 근육 수축으로 이동하면서 분비물들과 섞입니다. 변을 24시간 저장하고 이 동안에 대장에 서식하고 있는 세균이 비타민K와 몇가지 바타민 B 복합체를 생산합니다. 
  • 십이지장은 무균상태이지만 점점 균이 증식하여 대장에는 가장 많은 종의 세균이 상재합니다. 장내 세균은 분해되지 않고 대장까지 내려온 음식물 찌꺼지를 부패, 발효시켜 분변을 형성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수의적인 근육 주축으로 변을 항문 밖으로 내보내는 것이 배변입니다. 
  • 대장은 단단한 음식 폐기물을 만들기 위한 수분을 흡수하고 변을 저장, 배변 과정을 통해 변을 배설하고 비타민을 생산합니다. 

배변

  • 항문 : 항문은 해부학적으로 항문연으로부터 치상선에 이르는 1~1.5cm를 말하고 외과학적으로는 항문연으로부터 치골 직장근에 이르는 2~4cm를 말합니다. 항문연은 항문구로 항문 주위 피부와 항문관 상피가 만나는 부위입니다. 치상선은 항문피부와 그 상부의 점막이 만나는 부위입니다. 항문의 내괄약근은 직장의 윤상근이 계속되는 구조물로 평활근입니다. 외괄약근은 피하, 천부 및 심부로 나누어지는데 횡문근, 수의로 조절이 가능한 근육입니다. 치골직장근은 항문과 지장 사이에 80도의 각도를 형성해주는 근육으로 배변 자제에 가장 중요한 근육입니다. 모르가니 직장주는 치상선 직상부에 있는 8~14개의 중축의 주름입니다. 이 직장주의 하부근 내의 괄약근 사이에 위치하는 항문샘의 입구가 존재하게 됩니다. 항문샘은 항문주위 농양 및 치루 발생의 근원지입니다.
  • 직장과 항문의 정상 기능 : 직장은 주로 저장 기능을 하는데 물 650~1200㎖ 저장 가능합니다. 항문의 괄약근은 항문을 폐쇄시킴으로써 배변 자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외괄약근은 비활동기 압력의 20%를 담당하고 괄약근 수축 시 압력의 100%를 담당합니다. 내괄약근은 휴지기에 압력의 80%를 담당합니다. 
  • 배변 자제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요인 : 항문 괄역근 및 치골직장근으로 인해 이루어지는 항문, 직장의 고압력대, 치골직장근으로 인해 이루어지는 항문 직장각, 직장의 저장능 및 유순도가 요인이 됩니다. 항문 및 직장의 감각 기능과 대장의 내용물 통과 속도가 영향을 줍니다. 대변의 양 및 내용물의 종류와 직장 및 항문의 운동 정도에 따릅니다.
반응형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체의 구조_담낭, 췌장  (0) 2022.07.22
인체의 구조_ 간  (0) 2022.07.21
인체의 구조_식도, 위  (0) 2022.07.19
인체의 구조_ 소화 과정과 구강  (0) 2022.07.18
인체의 구조_피부 부속 기관과 피부의 기능  (0) 2022.07.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