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화기 계통은 소화 과정을 담당하는 기관들입니다. 크고 물에 녹지 않은 단단한 음식물을 잘게 만드는 기계적 소화 과정을
거쳐 장을 덮고 있는 세포를 통해 혈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은 화학적 성분으로 만들고 흡수하는 과정입니다. 소화 기관들과 소화선을 통해 소화가 이루어지는데 이번 글에서는 소화 과정과 구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소화 과정
- 섭취: 음식을 먹고 씹고 삼키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 연동 운동 : 식도, 위, 장 등의 소화관에 있는 근육의 불수의적인 움직임으로 점진적인 물결 같은 수축이 생기고 음식물을 소화관 내에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소화: 물에 녹지 않는 큰 미립자들을 물에 녹기 쉬운 작은 미립자들로 전환합니다.
- 흡수 : 세포에서 이용하거나 저장하기 위해 화학적 물질들을 장에서 혈류와 림프계로 이동시키는 과정입니다.
- 배변 : 소화 후에 생긴 불필요한 노폐물을 항문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하는 과정입니다.
소화관 벽
- 모든 소화관은 비슷한 구조로 되어 있고 부위에 따라 각 층의 두께와 점막 형태가 다릅니다.
- 점막 : 가장 안쪽에 위치한 세포층으로 상피조직과 점액분비세포, 흡수 세포로 되어 있고 파쇄된 음식물이 혈류로 이동하는 부분입니다. 상피층, 고유판, 점막근판의 세 층으로 구성됩니다.
- 점막하층 : 결합조직과 혈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소화 활동 조절을 도와주며 식도나 십이지장에 존재합니다.
- 평활근 : 돌림섬유와 세로 섬유 평활근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소화관 근육의 수축으로 음식물의 이동을 도와줍니다.
- 장막 : 혈관, 신경, 림프관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분포한 신경은 자율 신경이고 소화관의 운동과 소화액의 분비는 부교감신경에 의해 촉진되고 교감 신경에 의해 억제됩니다.
- 소화관은 소화관 속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자극에 반응하여 국소적 축소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거나 진행성 수축파를 발생함에는 내원성 신경총의 힘을 필요로 합니다. 소화관의 서로 멀리 떨어진 부분의 활동 조절 시에는 부교감과 교감 신경 같은 외원성 신경의 중개를 거칩니다.
구강
- 입안(구강) : 소화관의 첫 부분으로 음식물을 섭취하고 씹어 잘게 부수고 타액선(침샘)에서 분비하는 타액(침)과 음식물이 고루 썩이게 하여 부분적인 소화를 일으킵니다. 음식의 맛을 감별합니다.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 소화액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고 혼합시킴으로써 소화액의 작용을 촉진합니다.
- 혀 : 음식물을 혼합시켜 소화를 도와주고 미각을 관장하며 발음 기관입니다. 점막으로 덮힌 가로무늬근(횡문근)의 덩어리로 점막 부위에 따라 구조가 다양합니다. 근섬유들은 세 방향으로 서로 교차하고 있는 근섬유 다발을 형성하며 대부분 결합조직으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아래면의 점막은 매끈하고 등쪽면은 불규칙하며 그 앞부분은 유두라고 불리는 많은 작은 융기로 되어 있습니다. 등쪽 표면은 V자 모양의 경계로 뒤쪽 1/3, 앞쪽은 2/3으로 구분됩니다. 혀의 유두는 구강상피와 점막고유판이 돌출된 부위입니다.
- 타액 : 타액선에서 하루 1~1.5ℓ, 1분에 약 1㎖가 분비됩니다. 주로 식사 시 분비되며 식사와 무관하게 15㎖/시간 만큼 분비됩니다. 타액선은 이하선, 악하선, 설하선이 있으며 이하선은 가장 큰 타액선으로 소화효소인 프티알린을 가장 많이 함유하는 묽은 타액을 분비합니다. pH 5.45~6.06의 약산성이며 거의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유기성분은 탄수화물을 소화시키는 타액소인 pthalin 이외에도 뮤코다당류, 당단백, 단백질 및 각종 전해질을 포함합니다.
치아
- 32개의 영구치아가 상악골과 하악골 양측의 대칭적인 치아궁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사분면네는 2개의 앞니, 1개의 송곳니, 2개의 작은 어금니, 3개의 큰 어금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영구치 전에는 20개의 탈락 치아(유치, 젖니)와 12개의 영구 어금니로 되어 있습니다. 잇몸 위로 솟아올라 있는 치아관과 잇몸 아래 한 개 이상의 치아 뿌리가 있습니다.
- 내부에는 상아질이라는 석회화된 구조가 존재하고 상아질은 조직으로 채워져 있는 공간인 치아수질감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치아수질감은 치아 뿌리 끝까지 뻗어 있으며 치아 뿌리 끝구멍을 통해 치아수질감의 혈관, 림프관, 신경이 드나듭니다. 치아 주위 인대는 시멘트질에 부착되어 있는 가로 섬유로 구성된 섬유성 구조로 이틀 안에 치아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도와줍니다.
반응형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체의 구조_소장, 대장 (0) | 2022.07.20 |
---|---|
인체의 구조_식도, 위 (0) | 2022.07.19 |
인체의 구조_피부 부속 기관과 피부의 기능 (0) | 2022.07.17 |
인체의 구조_ 피부 (0) | 2022.07.16 |
인체의 구조_면역 반응과 림프 계통 (0) | 2022.07.15 |
댓글